본문 바로가기

Work/Electricity

차단기 종류에 대해서

1. 배선용 차단기 - MCCB (NFB)

★ 회로보호

  1) 과부하 및 단락 감지 시 전류 차단
  2) 과부하 차단 목적

 

2. 누전 차단기 (ELB)

★ 인체 보호

  1) 누전 감지 시 전류 차단
  2) 누전 차단 목적

 

※ 배선용 차단기와 누전 차단기의 용도는 같다고 보실 수 있으나 요구하는 업체의 이야기를 먼저 들어보시고 판단하시는게 좋을 것입니다.

 

3. 전자스위치 - MC or MS

차단기와 비슷한 목적이지만 릴레이와 같은 접점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.

 

MC의 경우,

동작 원리는 릴레이와 비슷하지만 릴레이는 작은 전력(전류)을 제어하는 기능이 있다면

MC는 비교적 큰 전력(전류)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.

 

주로 부하용량이 큰 제품인 모터(앰프) 또는 히터 전단에 설치가 됩니다.

 

4. 회로보호기 - CP

 

예전(?)에는 퓨즈를 교체할 수 있는 형태의 보호기를 자주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퓨즈 교체형이 아닌 회로보호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.

 

아래 그림을 보시면 바로 알아보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.

퓨즈 박스 형태인 회로보호기
Homeywell 사 회로보호기

회로보호기(CP)의 주 목적은 이상 전류를 검출하여 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.

 

그 외 제 경험을 예로 들면,

 

메인 전원은 차단기(배선 or 누전)를 통해서 전기박스 같은 곳 안으로 들어가게 됩니다.

그 후 박스 내부에 배치한 전기부품(SMPS, PLC, 등등)의 배선은 회로보호기를 통해서 공급하게 됩니다.

예외로 모터나 히터 같은 경우엔 MC(MS)를 거쳐서 배선을 주로 합니다.

 

예를 든 경우이기에 업체마다 사람마다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. 

'Work > Electricit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전력량 계산 방법  (2) 2022.09.29
3상 3선식, 3상 4선식  (0) 2022.09.28
유효전력, 무효전력, 피상전력에 대해서  (0) 2022.08.3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