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6)
장력검출기(LX-050TD)와 텐션미터(LM-10PD) 이번에는 롤투롤 장비에서 텐션을 유지하고 측정하는데 꼭 필요한 것들입니다. 이는 바로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'장력검출기' 와 '텐션미터'입니다. 장력검출기 같은 경우 LX-000TD 라는 이름에서 정격하중[N]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LX-005TD 일 경우엔 50[N] LX-200TD 일 경우엔 2000[N] 000에 있는 수치에서 0을 하나 더 붙인 값이 정격하중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. 텐션미터의 경우 LM-10PD 라는 이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장력검출기처럼 숫자에 의미가 있을까 싶었지만 아직 확인은 안되서 그냥 의미가 없다고 인지하려고 합니다. 롤이라는게 흔히 길다란 원통형이기에 장력검출기(LX-000TD)는 한 롤마다 두 개(Left, Right)씩 달린 경우가 많습니다. 장력검출기 각각의..
대구 달성군 유가읍에 위치한 "유가제빵소" 현풍 유가읍 쪽에 위치한 유가제빵소 건물이였습니다. 건물 외관이나 실내를 보자마자 든 생각은 '깔끔하다'였습니다. 무엇보다 자차를 이용해서 갔을 때 주차에 대한 걱정이 없어서 좋았습니다. 실내에 들어서고 가장 먼저 느끼고 놀란 점은 1. 자리가 많고 넓었습니다. 2. 빵 종류가 다양하고 개성적인 빵들이 있었습니다. 이 날은 복숭아빵(?)과 다른 빵 하나를 먹었는데 제 기준에선 정말 다시 가고 싶은 가게였습니다. 후기 : 다시 또 갈 수 있을 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.
전력량 계산 방법 1. 전압, 상을 먼저 설정하거나 확인합니다. - 380V or 220V 중 어떤 것을 사용할 지 먼저 결정합니다. ※ 고려해야할 사항 ⓐ사용하는 모터 등 장비의 내,외적인 부품들의 사양 (ex. 전원, 사용량 등) ⓑ메인 차단기 용량의 크기 ⓒ1차 측에서 사용하게 될 전선의 SQ수 추후 더 추가할 예정 2. 사용하는 전기부품의 정격전류 값을 확인 후 그에 맞는 차단기를 선정합니다. 처음에는 정격전류 값에 안전율을 곱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전력량 계산을 진행하고 있었으나 이미 생산업체에서 정격전류 자체에 안전율을 감안하고 작성한 것으로 알게 되어서 안전율을 따로 더 곱해주게 될 경우 흔히 말하는 배보다 배꼽이 커지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겁니다... (저와 같은 실수를 다른 분들은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...
3상 3선식, 3상 4선식 * 접지선 = G 라고 임의로 표기 3상 3선식(R, S, T, 접지) R상 S상(제2종 접지) T상 G상(제3종 접지) R,S,T 상 중 한 상을 제2종 접지(S)로 할 경우 전압을 측정하면 R - S : 220V S - T : 220V T - R : 220V R - G : 220V S - G : 0V + α : 실제 접지저항에 따라 전압 값이 바뀔 수 있음 T - G : 220V 3상 4선식(R, S, T, N, G) R상 S상 T상 N상(제2종접지) G(제3종접지) R - S : 380V S - T : 380V T - R : 380V R - N : 220V S - N : 220V T - N : 220V R - G : 220V S - G : 220V T - G : 220V N - G : 0V + α ..
차단기 종류에 대해서 1. 배선용 차단기 - MCCB (NFB) ★ 회로보호 1) 과부하 및 단락 감지 시 전류 차단 2) 과부하 차단 목적 2. 누전 차단기 (ELB) ★ 인체 보호 1) 누전 감지 시 전류 차단 2) 누전 차단 목적 ※ 배선용 차단기와 누전 차단기의 용도는 같다고 보실 수 있으나 요구하는 업체의 이야기를 먼저 들어보시고 판단하시는게 좋을 것입니다. 3. 전자스위치 - MC or MS 차단기와 비슷한 목적이지만 릴레이와 같은 접점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. MC의 경우, 동작 원리는 릴레이와 비슷하지만 릴레이는 작은 전력(전류)을 제어하는 기능이 있다면 MC는 비교적 큰 전력(전류)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. 주로 부하용량이 큰 제품인 모터(앰프) 또는 히터 전단에 설치가 됩니다. 4. 회로보호기 -..
유효전력, 무효전력, 피상전력에 대해서 1. 이해하기 쉽게 풀어 쓴 정의 유효전력 : 전기 장비 작동 시 실제로 일에 도움이 되는 전력으로 교류회로에서의 전압의 실효치 [W] 무효전력 : 실제로는 아무런 일을 하지 않아 부하에서 전력으로 이용할 수 없는 전력 [Var] 피상전력 :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벡터의 합 [VA] 즉, 피상전력 = 유효전력 + 무효전력 2. 각 전력의 역할(?) 전압에 인가되어 실제로 일을 하는 유효전력[W] 인덕터나 캐피시터의 영향으로 일을 하지 않는 무효전력[Var] 인가되는 교류 전압 그 자체인 피상전력[VA]이 있습니다. 3. 역률과 무효율 역률 : 전압을 인가했을 때 실제로 일을 하는 전력의 비율 무효율 : 전압을 인가했을 때 실제로 일을 하지 않는 전력의 비율 역률 교류전압을 인가..